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취업관련

[엉뚱이]자격증 작업형 실기 시간연장 왜 안하세요??(꿀팁)

by ★凸★ 2020. 2. 16.

작업형 시간연장

안녕하세요 엉뚱이예요! 오늘은 자격증 작업형인 경우에 시간연장을 이용해 보시라는 꿀팁을 드릴 예정이에요.

역시나 경험한 내용이나 꼭 떨지 말고 이용해 보세요!

 

1. 시간연장은 왜 해야 하는가??

시간연장을 안 할 이유도 없습니다. 가령 필답+작업형이 아니고 only작업형인 경우를 보자면

시간연장을 한다고 해서 응 너 탈락 이러진 않습니다.

생각해보세요 완전 동작입니다. 반만 동작하는 경우는 탈락이지만 완전 동작에 시간연장으로 인한 감점 정도입니다.

각각에 배점이라는 게 있습니다. 작품을 완성을 해야 할 때 수치라던지 미관이라던지 각각의 배점이 있기 때문에

너무 안일하게만 하지 않으면 시간연장을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2. 시간연장을 어떤 경우에 해야 하나요??

꼼꼼한데 손이 느리신 분 수치나 제시된 규격 완벽하신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다만 정말 확실히 해야 하는 부분이고 절대적 정답 모든 분의 모든 자격증을 일반화하기는

힘든 부분입니다. 하나의 전략으로만 가져가 보시라는 말입니다.

확실히 하기 위해 항목별 실기 배점을 알아보시고 인력공단이나 학원 인터넷 서치를 통해서 알아보신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왜냐하면 절대 적용은 아니고 추천.

 

3.그러면 필답+작업형 혼합형은 못하나요??

필답형이 점수가 잘 나올꺼 같고 자신있고 점수를 미리 받는 경우는

두가지 경우입니다.

첫째 필답점수가 낮을꺼 같거나 자신이 없으신분 그리고 점수를 미리 아시는분 

하지마세요. 이유는 작업형에서 만회를 해야하고 하나하나 이쁘고 간결하고 깔끔하게 해야하면서 

점수요소를 하나씩 잘 받으면서 완전동작을 해야하니까요!

둘째 필답이 자신이 있다.! 잘 나왔다.

학원에 다니시는분은 학원강사분에게 충분히 여유를 주고 해도 되냐고 자신의 필답점수를 제시한 후에 

말씀해보세요 아마 잘 아실 꺼예요. 일반인 분들은 배점요소를 아셔야겠죠? 시간연장의 따른 분당 감점이 얼마나 되는지

 

4.글쓴이는 해보고 말하는건가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해보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몇가지중 한가지를 말씀드리면 전기기능장일 때 그렇게 해봤습니다.

지극히 객관적으로 봤을 때 손이 느린편도 아니고 마이너스 요인이 크게 없을걸 알고 있었습니다.

다만 과거 경력중 한번 동작실패로 탈락의 경험이 있어서 오히려 천천히 느긋하게 동작만 하자

실기 시간내에 완성을 다 시켰는데도 불구하고 테스터기로 계속 체크해서 30분 다 활용했습니다.

왜냐하면 전기계열은 전자쪽과 달리 한번의 동작실험으로 시험당락을 좌지우지 합니다.

전자계열 납땜계열은 오동작을 하여도 다시 재정비해서 틀린부분을 수정을 해도 됩니다. 

그 차이가 너무 컸습니다. 실수를 하면 안되는 압박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로 예를들면 필답+작업형 인데 필답에서 40점이라는 점수를 받고 

작업형에서 20점 만점을 받아야 하는 경우 였는데 이 때는 미친듯이 빨리하고 한번에 동작을

깔끔하게해서 만점을 받고 합격을 하였습니다.

이경우는 동작시험을 본인이 할 수 있었고 틀려도 고칠 수 있다는 전제도 있었지요.

 

마지막 한마디

자격증은 어디까지나 쯩 라이센스일 뿐입니다. 딴다고 자격증이 없으신 실무에 계신분보다 잘하거나 

갑자기 주변환경이 바뀌진 않습니다. 

너무 긴장하지 마시고 이런 전략도 있다는거 참고만 하시고 꼭 합격하세요!!

 

[엉뚱이]기능장 합격 후기 동시 두개 취득 실화임!

안녕하세요 엉뚱이 입니다. 우선은 인증부터 들어갈게요. 다들 보시다시피 필기 날짜는 틀리고 실기 날짜는 작업형이라 날짜를 나눠서 한 번에 보았습니다. 전기기능장에서 실기 한번 떨어짐.전자기기기능장은 한..

moinside.tistory.com

 

[엉뚱이]자격증 작업형 점심시간 활용 꿀팁!

1.점심을 탈 나지 않는것으로 먹는다.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매운음식 피하시고 될 수 있으면 그냥 빨리 꺼지는 면류가 낫고 더불어 중간에 배고픔을 느끼면 차라리 그 때 쯤이면 스트레스와 압

moinside.tistory.com

 

반응형

댓글